언론이 인정하는 로펌
여러분이 직접
확인해 보세요.
-
언론보도 · 글로벌에픽
급발진 사고의 입증책임, 운전자에게 있어… 정밀한 대응 전략 필요해
2024.10.10 온라인신문 글로벌에픽에 법무법인 YK 김지훈 변호사의 인터뷰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법무법인 YK 김지훈 변호사 법무법인 YK 김지훈 변호사는 급발진 사고의 입증책임에 대해 “차량 내부의 결함을 직접 밝히기 어렵다 하더라도 차량 자체의 결함이 아니라면 그러한 교통사고가 통상적으로 발생하기 어렵다는 점을 간접적으로라도 드러내야만 급발진을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건발생 전, 후의 차량 상태나 내부 탑승자, 특히 운전자들의 상태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를 최대한 수집, 활용하여 대응해야 하므로 사고 발생 직후부터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2024.10.10 -
언론보도 · 로이슈
형사전문변호사가 말하는 ‘스토킹 범죄’의 성립 요건과 처벌 수위
2024.10.08 온라인신문 로이슈에 법무법인 YK 홍성준 변호사의 인터뷰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법무법인 YK 홍성준 변호사 법무법인 YK 홍성준 변호사는 스토킹범죄와 관련해 “스토킹범죄라고 하면 단순히 치정이 얽힌 경우에만 성립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유형의 신종 범죄가 스토킹처벌법에 의해 해결되고 있다. 당사자가 스토킹의 목적을 가지고 한 행위가 아니라 해도 객관적으로 성립 요건에 부합한다면 처벌을 면하기 어려우므로 스토킹범죄를 절대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전문보기
2024.10.10 -
언론보도 · 노컷뉴스
[단독]"못 믿어도 참고 쓴다"…카카오T, 96% 독점의 '악순환'
2024.10.06 노컷뉴스에 법무법인 YK 관련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시장 점유율 96%. 지난 2015년 '카카오택시'로 출발해 택시호출 서비스를 점차 확장하면서 지금의 '카카오T'로 카카오모빌리티가 이룬 성과다. 하지만 이면에는 공정위로부터 수 차례 과징금을 받는 등 택시 호출 시장에서의 '독과점'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그때마다 '승객과 기사의 편익'을 방패로 삼아 왔다. 그러나 방패조차 정당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설문조사 결과 택시호출 서비스로 카카오T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는 택시 기사와 승객이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택시 기사들 절반 이상이 카카오T의 불공정성을 지적했고, 승객들도 '독점구조'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과 법무법인 YK가 티브릿지코퍼레이션이 의뢰해 지난 8월 택시기사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최근 3개월 간 사용 경험이 있는 택시 호출 애플리케이션으로 택시 기사 중 92.2%가 카카오T를 꼽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해 가맹택시 사업을 운영하면서 경쟁 가맹택시 사업자에게 영업상 비밀 제공을 요구하는 등 공정한 시장 질서를 저해했다고 판단해 700억 원대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플랫폼 제휴 계약 체결 목적은 '콜 중복 최소화'를 통한 이용자 편의 증대"라며 공정위를 대상으로 행정소송을 예고한 상태다. 기사전문보기
2024.10.07